top of page

​밀해담 MILHAEDAM

DESIGN

SITE

YEAR

USAGE

AREA

SPACE DOT

1, Jungang-daero 221 beon-gil, Dong-gu, Busan

2024

Restaurant

54PY

1-2(선 지움).jpg
3.jpg

"밀해담의 슬로건인 부산을 부각하지 않고, 밀과 면에 온전히 집중한 프리미엄 밀면집을 계획한다."

이 한 문장에서 모든 것이 시작되었다.

밀해담의 정체성을 공간에 담아내고자 ‘밀’과 ‘면’을 다양한 시각으로 섬세하게 바라보는 과정이 필요했고,

우리는 밀면을 자주 먹어보고, 실제로 밀면을 뽑는 과정을 지켜보며

그 경험을 시각적으로, 감각적으로 어떻게 공간에 풀어낼지 끊임없이 탐구했다.

자연의 단단한 알갱이 ‘밀’에서 시작해, 그 알갱이가 미세한 가루가 되고 그 가루가 다시 응축되어 ‘밀면’이 되는 과정을 다방면으로 탐구하고 섬세하게 바라보며 모든 공간에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렇게 파사드와 내부 인테리어에 밀면의 본질을 담아내고자 했고, 결과적으로 밀과 면이 주는 순수한 느낌을 공간 전체에 표현하는 데 집중할 수 있었다.

우리는 이러한 브랜드 철학에 맞춰 단순히 눈에 띄는 건축물을 넘어서, 밀면의 이야기가 담긴 건축을 표현하고자 했다. 반죽기에서 나오는 밀면의 형태를 수직적인 연속성 안에 곡선으로 표현하여 외부 파사드에 반영하였고, 이를 통해 밀해담 이야기의 서두를 여는 파사드를 계획했다.

내부 공간의 1층은 전체가 식사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출 천장의 복잡한 요소는 시선에 띄지 않도록 검은색으로 정리하였고, 내부 공간에서는 밀면의 형상을 온전히 보여주기 위해, 밀면의 색상과 형태를 닮은 천을 사용해 메인 오브제를 설치했다. 바닥은 콩자갈로 마감하여 자연 속에서 편안하게 밀면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벽체는 단단한 알갱이의 곡물 텍스처를 표현하기 위해 특수 도장을 활용하여 자연스러운, 비정형화된 알갱이를 담은 벽면을 형성하였다.

2층으로 올라가는 공간은 1층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동일한 마감재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일관된 디자인과 분위기를 유지했다.

인테리어의 기본은 심리적으로 느낄 수 있는 편안한 동선부터 테이블 크기,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는 계단의 높이를 담은 인간공학 그리고 안전한 기능까지 모든 것을 겸비한 공간이라 생각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본에 충실하여 온전히 식음에 집중하고 즐길 수 있도록 고객과 직원의 동선이 겹치지 않도록 설계했다.

온전히 밀과 밀면의 이야기로 이루어진 이 공간에서 깔끔하게 정돈된 외부에서부터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는 내부까지

모든 공간과 음식을 음미하며 여행객에게는 특별한 여행길의 시작 또는 마지막 복귀하는 길이 되시길, 현지 분들에게는 부산역 일대의 어느 공간보다 편안하고 특별한 공간을 경험하는 하루가 되시길.

30_edited.jpg

It all began with a single sentence: ‘Without highlighting Busan, the slogan of Milhaedam,

we planned a premium wheat noodle house focused entirely on wheat and noodles.’

To express Milhaedam’s identity within the space, we needed a delicate process of closely observing wheat and noodl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e repeatedly tasted milmyeon and observed how it was made to explore how that experience could be translated into a visual and sensory space.

Starting from the solid grain of wheat, through its transformation into fine flour, and finally into noodles, we studied each stage thoroughly. Our goal was to represent these elements throughout the space in various forms. This became the foundation for designing both the façade and interior, allowing us to express the purity and nature of wheat and noodles across the entire environment.

In alignment with the brand philosophy, we aimed not just to create an eye-catching building, but an architecture that tells the story of milmyeon. The curved form of noodles emerging from a mixer was interpreted as a vertical repetition and expressed on the façade, serving as an opening line to Milhaedam’s narrative.

The first floor is fully designed as a dining space. To reduce visual distractions, the exposed ceiling was painted black, while the main installation, made of fabric resembling the color and form of milmyeon, was installed as a central object. Pebble flooring provides a sense of calmness and nature, while special textured wall coatings echo the natural graininess of wheat in an organic and irregular way.

The staircase to the second floor continues the same material palette to ensure continuity and a unified mood.

We believe interior design starts from psychological comfort—from intuitive circulation, appropriate table dimensions, and ergonomically safe stair heights to overall spatial safety. With that in mind, the movement flows of staff and customers were clearly separated, allowing for undisturbed dining experiences.

From the clean, refined exterior to the immersive, sensory interior fully infused with the story of wheat and noodles, we hope that this space marks either the beginning or the end of a memorable journey for travelers, and offers locals a uniquely warm and special place within the Busan Station area.

33.jpg
7.jpg
12.jpg
14.jpg
8.jpg
15_edited.jpg
5.jpg
13.jpg
17.jpg
18.jpg
29.jpg
27.jpg
20_edited.jpg
22.jpg
23.jpg
26_edited.jpg
25_edited.jpg
24_edited.jpg
  • Instagram
Ⓒ 2021  SPACE  DOT  Studio.   Co,  Ltd.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